손가락 딸깍거림? 방아쇠수지증후군 자가 진단과 치료법
방아쇠수지증후군은 손가락 굽힘힘줄(굴곡건)에 결절이나 종창이 생겨, 손가락을 구부리고 펼 때 ‘딸깍’하는 소리와 걸림 현상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40~60대 여성에서 흔하며, 과도한 손 사용, 당뇨, 류마티스 관절염 등이 주요 원인입니다. 초기에는 스트레칭, 온찜질, 약물치료 등 보존적 요법으로 호전이 가능하지만, 증상이 심하면 주사치료나 수술이 필요합니다. 조기 진단과 적절한 재활운동이 재발 방지에 중요합니다.
- 1. 방아쇠수지증후군이란?
- 2. 방아쇠수지증후군의 원인
- 2-1. 손가락 과사용
- 2-2. 동반 질환과 연관성
- 3. 주요 증상과 진행 단계
- 3-1. 초기 증상
- 3-2. 중기 및 말기 단계
- 4. 진단 방법
- 4-1. 신체 검사
- 4-2. 영상 촬영 및 초음파
- 5. 치료 방법
- 6. 재활과 예방법
- 7. 조기 치료의 중요성
방아쇠수지증후군이란?
정의와 특징
방아쇠수지증후군은 손가락 굽힘힘줄(굴곡건)에 결절이나 부종이 생겨, 손가락을 움직일 때 힘줄이 A1 도르래를 지나기 힘들어져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이로 인해 손가락이 걸리거나 ‘딸깍’하는 소리가 나며, 움직임이 제한됩니다. 특히 40~60대 여성과 손을 많이 쓰는 직업군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이름의 유래
(1) 방아쇠와의 비유
총을 쏠 때 방아쇠를 당기면 순간적으로 걸렸다가 풀리는 현상과 비슷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2) 손가락 구조 변화
힘줄을 덮고 있는 A1 도르래가 두꺼워지거나 힘줄 자체가 부풀어오르면 마찰이 심해지고, 움직일 때 ‘딸깍’ 소리가 발생합니다.
방아쇠수지증후군의 원인
손가락 과사용
장시간 손가락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작업(스마트폰, 키보드, 악기 연주 등)은 힘줄에 부담을 주어 염증과 결절 형성을 유발합니다.
동반 질환과 연관성
(1) 당뇨병
혈당 조절이 잘 안 되면 힘줄과 건초에 당 성분이 축적되어 염증 반응이 쉽게 일어납니다.
(2) 류마티스 관절염
관절 및 힘줄의 만성 염증이 A1 도르래 부위를 두껍게 만들어 방아쇠수지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3) 기타 손 부상
손목이나 손가락 부위의 외상, 반복된 충격도 주요 원인이 됩니다.
주요 증상과 진행 단계
초기 증상
처음에는 손가락을 구부리거나 펼 때 가벼운 통증과 뻣뻣함이 느껴집니다. 특히 아침에 증상이 심해지고, 손을 풀면 어느 정도 완화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중기 및 말기 단계
(1) 손가락 걸림 현상
힘줄이 결절 부위를 통과할 때 순간적으로 걸리면서 펴지지 않다가, 힘을 주면 ‘딸깍’ 소리와 함께 펴집니다.
(2) 통증 악화
증상이 심해지면 손가락을 억지로 펴야 하고, 이 과정에서 심한 통증과 붓기가 동반됩니다. 장기간 방치하면 손가락 관절이 굳어지는 구축이 생길 수 있습니다.
진단 방법
신체 검사
의사는 손바닥 쪽 관절 부위를 눌러 결절이 만져지는지, 손가락 걸림이 발생하는지 확인합니다. 이 과정에서 ‘딸깍’ 소리가 나면 방아쇠수지증후군 가능성이 큽니다.
영상 촬영 및 초음파
초음파를 통해 A1 도르래 두께, 힘줄의 상태, 결절 유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X-ray는 뼈 상태를 확인하는 데 사용되며, 다른 질환 감별에 도움이 됩니다.
치료 방법
보존적 치료
(1) 스트레칭 및 재활운동
아침 기상 후 손가락 스트레칭, 손바닥 마사지, 고무밴드를 이용한 가벼운 저항 운동이 도움이 됩니다.
(2) 약물치료
소염진통제(NSAIDs) 복용이나 국소 소염제 사용이 통증과 부종 완화에 효과적입니다.
(3) 온찜질 및 물리치료
온찜질은 혈류를 증가시켜 염증 회복을 촉진하며, 초음파 물리치료는 힘줄 주변 유착을 줄이는 데 효과가 있습니다.
시술 및 수술
(1) 주사치료
스테로이드 주사를 A1 도르래 부위에 주입하여 염증을 빠르게 가라앉힙니다. 1~2회 시도로 80% 이상 호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A1 도르래 절개술
보존적 치료에도 효과가 없을 경우, 국소마취 하에 A1 도르래를 절개하여 힘줄이 원활하게 움직이도록 합니다. 회복 기간은 짧지만, 수술 후 재활이 필요합니다.
재활과 예방법
생활 속 관리
장시간 손가락을 사용하는 작업 후에는 스트레칭과 휴식을 취해야 합니다. 무거운 물건을 반복적으로 잡는 행위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재발 방지 운동
고무밴드 손가락 벌리기, 주먹 쥐기·펴기 운동, 손목 회전 운동 등은 힘줄과 관절을 부드럽게 유지해 재발을 예방합니다.
조기 치료의 중요성
방아쇠수지증후군은 초기에 발견하면 수술 없이 회복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습니다. 손가락 통증과 걸림 현상이 지속된다면 조기에 전문의 진료를 받아야 하며, 꾸준한 재활과 생활 습관 관리로 재발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