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3

LCL과 FCL의 차이와 선택 기준 – 수입 초보자를 위한 해운 운송 가이드

해운 물류는 수출입 비즈니스의 핵심 요소 중 하나입니다. 처음 수입을 시작하는 개인이나 기업에게 있어 ‘LCL’과 ‘FCL’이라는 용어는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두 가지 운송 방식은 수입 물류 비용과 일정 및 리스크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 글에서는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LCL과 FCL의 차이점은 물론, 어떤 것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한지 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정리해보겠습니다.LCL과 FCL의 기본 개념 이해하기1) FCL(Full Container Load) – 컨테이너 전량 단독 사용FCL은 한개의 컨테이너 전체를 한 화주가 단독으로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보통 20피트(20ft) 또는 40피트(40ft)의 컨테이너 단위로 운송되며, 운송 효율과 보안성이 ..

해운 2025.07.06

해운·해상운송의 핵심, 선적서류 B/L, CI, PL 완전 정리

1. 해상운송에서 선적서류가 중요한 이유 국제무역에서 상품을 바다를 건너 이동시키는 과정 즉, 해상운송은 단순히 배에 물건을 실어 보내는 것이 아닙니다. 실제 상품의 이동만큼 중요한 것이 바로 선적서류입니다. 특히 해상운송에서는 ‘서류가 곧 권리’로 여겨질 만큼, 서류 한 장이 거래 전체의 안전성과 법적 책임을 좌우할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핵심적인 선적서류로는 선하증권(B/L), 상업송장(CI), 포장명세서(PL)가 있으며, 이 세 가지는 기본적인 해상무역 거래에서 반드시 필요한 필수 문서입니다.수출자는 이 서류들을 정확하게 작성해야 하고, 수입자는 이 서류들을 근거로 통관 및 대금 결제를 진행합니다. 다시 말해, 물리적인 상품은 항구에 있지만, 실질적으로 물건을 소유권은 이 서류에 담겨 있는..

해운 2025.07.06

해운 운임지수란 무엇인가? (SCFI 상하이컨테이너 운임지수, BDI 벌크선운임지수)

해운 운임지수의 개념과 필요한 이유국제무역과 글로벌 공급망이 일상화된 오늘날, 물류 비용은 단순한 부대비용을 넘어 사업의 생존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특히 해상운송을 통해 상품을 수출입하는 경우, ‘운임’은 전체 단가에 직결되는 민감한 비용이기 때문에 수입업자나 수출업자는 해운 운임의 변동에 주목해야 합니다. 이런 운임의 흐름을 정리하여 지표화한 것이 바로 해운 운임지수입니다.해운 운임지수는 전세계 항로에서의 해상운임 수준을 일정 기준에 따라 수치로 나타낸 것으로, 매일 달라지는 해운 시장의 분위기를 수치로 보여주는 지수입니다. 쉽게 말해, ‘오늘 컨테이너 운임이 올랐는가? 내렸는가?’, ‘벌크선 시장은 호황인가 침체인가?’를 한눈에 알 수 있게 만들어 주는 지표입니다. 이 지수를 참고해 운송 시기..

해운 2025.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