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3 2

🌍 2025년 IMO 탄소규제와 항만의 대응 전략: 누가 살아남을까?

2025년 1월, 해운업계는 새로운 시대를 맞이했습니다. IMO(국제해사기구)의 탄소 집약도(CII: Carbon Intensity Indicator) 규제가 본격적으로 시행되면서, 이제 단순히 '얼마나 많이 싣고', '얼마나 빨리 보내느냐'가 경쟁력의 기준이 아닙니다.이제는 “얼마나 친환경적으로 운송하는가”가 모든 항만과 선사의 새로운 생존 조건이 되었습니다.특히 환적항과 글로벌 물류 허브들은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기술과 투자의 싸움에 돌입했습니다. 기항지 축소, 전기장비 전환, 육상전력 공급(AMP) 도입 등 탄소 절감 경쟁은 물류의 판을 바꾸고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2025년부터 강화된 IMO CII 규제가 어떤 내용인지, 그리고 부산항, 싱가포르항, 상하이항이 이 거대한 전환 속에서 어떻게 ..

해운 2025.07.23

📌 2025년 환적항 자동화 수준 비교: Tuas(싱가포르) vs 부산항 vs 상하이항

2025년, 글로벌 해상물류 시장은 단순한 물동량 경쟁을 넘어서 ‘얼마나 예측 가능한가’, ‘얼마나 자동화되어 있는가’가 새로운 기준이 되고 있습니다.그 중심에는 아시아 3대 환적항, Tuas(싱가포르), 부산항, 상하이항이 있습니다.이 세 항만은 모두 아시아를 넘어 글로벌 공급망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각기 다른 자동화 전략과 운영 효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각 항만의 자동화 수준, 운영 특성, 그리고 화주·선사의 선택 기준에 대해 정리해봅니다. 🔍 자동화 항만이 중요한 이유자동화 항만은 단순한 트렌드가 아닙니다.이제는 글로벌 물류 전략의 ‘기본 조건’이 되고 있습니다.자동화 항만이 제공하는 경쟁력은 다음과 같습니다.선박 대기시간 감소 → 체선비 절감하역 속도 향상 → 리드..

해운 2025.07.23